질문등록
수업 및 교재
052******** 2025-06-23 오전 10:11:40
빈칸 앞문장에선 미지어가 사건을 선택으로 제시한다는 내용(선과 악, 유무죄등) 빈칸 다음문장에선 예시가 이어지면서 테러리스트는 완전 사악하게 지정되고 테러 대 자유투쟁의 문제는 무시되며 따라서 범죄자들은 죄를 만회항 특징이 없고 단순히 나쁘고 위험하다고 지정된다는 내용인데요. 저는 빈칸 다음 예시를 보고 ’빈칸 앞문장에 범죄의 단순한 묘사가 저렇게 다뤄서 테러리스트는 안좋게 지정이되고 이때문에 테러 대 자유 투쟁의 문제가 무시되는구나. 그럼 테러 대 자유투쟁의 문제 라는게 무시되면 안되는데 무시되어버리는거니까 5번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저테러 대 자유 투쟁 문제는 더 커질 수 있는 문제인데 이에 초점을 안맞추고 자꾸 범죄자를 나쁘게 지정하는거에만 몰두하게돼서 저 문제가 무시되는게 안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럼 5번이 더 적절하지않나요? 오히려 1번은 모호하고 왜곡시킨다는 내용 자체는 지문에 없지않나요? 범죄자가 나뿐짓을 했으니 그렇게 표현하는게 왜곡되고 모호한건 아니지않나요? 오히려 선택으로 선과 악 중 선택해 분명하게말하는데 모호하다는건 절대 허용할 수 없지않나요?
수업 및 교재
052******** 2025-06-23 오전 10:02:33


조교님께서 2번질문에 저렇게 the training which가 생략된 것이라고 말씀하셨는데 관계대명사 생략에서 목적격조사는 생략가능, 주격조사는 주격+be동사 묶어서 생략 가능이라고 배웠는데 왜 여기선 is를 남기고 생략하나요..?


수업 및 교재
052******** 2025-06-23 오전 8:57:30


왜 4번에서 lower이 되어야하나요? lowering으로 와도 and앞의 명사와 뒤에 동명사 이렇게 두개가 병렬된 것도 가능한거 아닌가요? 예를들면 I love school and cooking. 이문장이 의미적으로는 조금 어색해도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아니지않나요? 변화를 지지하는 사람들으ㅔ 의욕을 저하시키는 것을 조성한다해도 틀려보이진않아서요ㅠ

수업 및 교재
052******** 2025-06-23 오전 8:39:17

왜 4번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A에서 B로가는 흐름도 어색한게 없는데 왜 5번이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C마지막단락에 유사한 집단에 문화라는 용어가 국한되어야한다는 맥락과 B에도 문화의 경계는 해당사회의 경계와 일치한다는 내용이 비슷한내용이니 B도 가능하지만, 역접연결사를 통해 A가 온 후 서양문화/동양문화 이렇게 나눈다는 내용도 문화의 경계가 해당 사회의 경계와 일치하는 것이니 AB의 흐름도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ㅜ


수업 및 교재
yun***** 2025-06-22 오후 4:28:03

25학년도 수능 37번 입니다!

이 문제에서 b가 무적 1번인건 알겠는데, 그 이후에 ca 냐 ac 냐 구분이 되지 않아요..

ca의흐름이 더 낫다는 판단을 어떻게 할 수 있나요?



기타
smj**** 2025-06-20 오후 2:43:17

과해석이 심한 문제를 잡고 싶습니다....


선생님 강의를 듣고는 실력이 확실히 올랐는데, 


오히려 아는게 많아져서 그런지 선지를 다 지우고 남은 2개에서 얘도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며 


과하게 생각해서 종종 틀립니다...


다시보면 스스로 왜 이렇게 이상하게 의미를 부여했지 싶은게 요즘들어서 좀 많이 생기는거 같아요...


어떤 방법으로 교정이 가능할까요?

수업 및 교재
uu8******** 2025-06-19 오후 4:33:05



선생님이 수업시간중 설명해주신거요 ㅁㅁㅁ But ㅇㅇㅇ 이게 나오잖아요

그럼 빈칸엔 ㅇㅇㅇ 내용이 잖아요  보통

근데 저 지문엔 ㅁㅁㅁ But + 부정어 빈칸이니깐  ㅁㅁㅁ 내용이 들어가야 맞죠?

수업 및 교재
052******** 2025-06-18 오후 5:38:23

이 문제에서 왜 1,4번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1번은 전치사+관계대명사 이니 관계부사 역할을 할텐데 그냥 관계대명사가 와야하지않나요? 뒷뒤문장이 완전해서 그런건가요..? 관계대명사와 관계 부사가 쓰이는 상황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4번은 is required 가 어떤걸 이어받는지 모르겠습니다. training (which is) required 이렇게 관계대명사 비동사가 생략된 것도 아니고 그럼 그냥 be pp로 쓰였다는 것인데 앞에는 requires 로 쓰고 than뒤에는 be pp를 쓰는게 가능한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