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2 번 질문입니다 (11주차 기적 모고)
1.저는 31번은 4번 했는데 이 지문에서 마지막 문장인 in other words 전까지는 4,5번해도 되는데, 마지막 문장 때문에 5번이 된다고 오답하면 될까요?
2.32번 문제에서, 제가 지문 초반부 읽을 때에는 ’아 뭔가 남들이 좋다고 하는 걸 목표로 삼는구나 ㅇㅇ.‘ 라고 파악했다가 지문 중,후반부에 가서 ’a society’s standars change’에 꽂혀서 (+그 이후에도 계속 행복의 기준이 바뀐다 라는 말이 나옴) 앞에서 잡았던 주제는 이미 머리에 없고 ‘아 행복의 기준이 바뀐다는 거구나 ㅇㅇ’ 하고 1번 찍었는데요,,!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1) 이 지문의 논리구조를 따지면, ’주요 주제로는 2번째 문장인 cultural animals~ 가 맞고, 세부적인 내용으로, 그렇지만 행복의 기준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도해 ~‘ 이런 느낌맞나요?
(2) 제가 이렇게 32번처럼, 빈칸과 떨어진 곳에서 소재가 바뀌면 빈칸과 가까이에 있는 소재(사람들은 타인이 원하는 걸 목표로 함)답으로 해야할지, 빈칸과 떨어진 소재(근데 행복은 바뀐다)를 답으로 해야할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근데 찾아보니 빈칸 근처에 있는 소재가 답이 될 경우가 훨씬 많은 거 같은데 근처 소재를 답으로 해야겠다 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3) 제가 ‘2.’에 쓴 것처럼 사고하게 된 이유는 행복의 기준이 바뀐다라고 소재가 바뀔 때, But을 썼기 때문에 ‘왠지 중요하겠다. 역저ㅂ의 접속사가 나왔으니!!’ 라고 해서 앞에 잡았던 주제를 버리고 But뒤의 내용을 중심으로 읽었는데, 그럼 앞으로는 ‘But 있다고 반드시 “주제” 가 바뀌는 것은 아니고, 세부적인 흐름이 바뀔 수도 잏는거다! ’ 라고 교훈을 얻어가면 될까요?! (혹시 더 적절한 교훈점이 있을까요?)
3.근데 기적모고가 평가원모고와의 난이도를 따지면 비슷한 편인가요?

